티스토리 뷰

# 메모리 초과가 난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import sys
 
max_size = 10000 # 입력될 숫자의 최대 크기
 
test_case = int(input())
num_list = []
 
for case in range(test_case):
    num_list.append(in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)
 
= len(num_list)
count = [0]*(max_size+1#0으로 초기화된 입력될 max_size+1 길이의 배열 count를 생성
count_sum = [0]*(max_size+1#count_sum은 누적합을 저장하는 배열
for i in num_list:
    count[i] += 1
 
count_sum[0= count[0# 입력에 0이 있을 수 있으므로
for i in range(1, max_size + 1):
    count_sum[i] = count_sum[i - 1+ count[i]
 
sorted_list = [0]*(N+1)
for i in range(N-1-1-1):
    sorted_list[count_sum[num_list[i]]] = num_list[i]
    count_sum[num_list[i]] -= 1
 
for i in sorted_list[1:]:
    print(i)
cs

 

문제에서 메모리를 8MB로 제한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O(n^2), O(nlogn)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정렬기법들은 메모리 초과에 걸리게 된다. 따라서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선 Counting sort를 사용해야한다. 카운팅 정렬은 입력되는 숫자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사항이 있으나 시간 복잡도가 O(n)으로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. 

 

 그러나 이 문제에서 요구되는 것은 속도가 아니라 공간의 효율성이다. 그렇기 때문에 위의 코드는 메모리 초과의 문제가 발생한다. 그 이유는 입력되는 숫자들을 모두 배열로 저장하고 정렬하는 과정에서 다시 정렬된 배열을 만들기 때문이다. 즉,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숫자들을 배열로 저장하면 안 된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unting sort가 사용된다.

 

 

# 정답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import sys
 
= int(input()) # 입력 받을 수의 개수
 
max_size = 10000 # 입력되는 수의 최대 값이 10,000이기 때문
 
count = [0]*(max_size+1)
 
for case in range(N):
    num = in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
    count[num] += 1
 
for i in range(1,max_size+1):
    if count[i] != 0:
        for j in range(count[i]):
            print(i)
cs

 

 이전의 코드보다 훨씬 간결해졌다. Counting sort를 사용하여 입력 받는 숫자들의 값을 인덱스로 하여 count 배열에 개수를 증가시킨다. 이후 모든 숫자의 입력이 끝나면 count 배열을 돌면서 각 인덱스의 숫자만큼 출력하면 된다.

 

 

- 총평 -

 

 이 문제를 해결하기까지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걸렸다. 우선 Counting sort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. 또한 이전까지는 시간복잡도를 따지는 문제을 풀어보았기 때문에 메모리에 제한을 두는 공간 효율성 문제는 낯설었다. 많은 생각을 필요로 한 문제였다.